3주차 강의는 저번주에 끝이나고 오늘은 12일 월요일입니다.
오늘 12일까지 3주차 과제를 제출해야하네요~ 컨피규레이션이 동작하는 영상을 만드는 거군요~
3주차 강의는 컨피규레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동영상을 만드는 것에 관한것이였습니다.
컨피규레이션이라는건 씬 상태를 자유자재로 저장해서 전체보기 화면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바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과제를 하기전에 3주차 강의를 다시 보면서 요약을 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14일 수요일은 4주차 강의가 오후 2시에 시작되겠네요. 까먹고 빠지는 일이 없게 해야겠습니다~
3주차) 제품 시각화 및 인터랙션 고도화하기
1. 컨피규레이션 사전 세팅
씬그래프에서 컨트롤 + A 키를 눌러 모두 선택 후 - 마우스 우클릭으로 계층구조 접기 후 - 토스터기 파일을 컨트롤키를 눌러 선택해제 한 후 - 나머지를 DEL키를 눌러서 모두 삭제 - 토스터기만 남은 파일을 다른이름으로 저장(컨트롤 + 쉬프트 + S)
2. 제품 세팅 : 트랜스폼 패널
새 프로잭트 생성(컨트롤+N) - 병합하기(컨트롤+M)로 저장했던 토스터기 파일을 불러온다(복사본 저장 체크해제) - 토스터기를 씬그래프에서 선택 후 쉬트프 + 마우스 왼클릭으로 뷰포트로 순간이동 시킨다. - 우하단의 트랜스폼 패널을 연다 - 토스터기 위치를 0,0,0 으로 이동시킨다.
3. 제품 세팅 : 피벗 이동 및 편집
토스터 도어를 선택 후 회전시킨다 - 피벗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단의 피벗편집을 선택한다. - 클릭한 지점으로 피벗 이동 기능을 이용해 피벗을 이동시킨다(오브젝트가 선택되어 있고 피벗 편집 모드인 상태에서 피벗을 옮길 지점에 쉬프트 + 왼클릭) - 피벗 편집모드를 해제한다(이동모드로 변경 또는 워크스페이스에서 마우스 우클릭)
4. 제품 세팅 : 로컬/월드 스페이스 전환
상단의 지구본 모양을 클릭해서 로컬 스페이스로 전환해주면 회전할때 피벗이 따라 움직인다
5. 제품 세팅 : 도어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 - 도구 - 로테이터를 드래그앤 드랍 - 핼퍼 띄우기 G를 이용해 로테이터를 보이게 하거나 숨길 수 있다 - 도어의 트랜스폼 정보를 복사해서 로테이터의 정보에 붙여넣기 해서 로테이터를 도어의 위치로 이동시켜준다. - 씬그래프에서 토스터 도어와 로테이터를 제외하고 보이지 않기를 해준다 - 로테이터를 선택 후 오브젝트 링크를 선택 후 도어를 클릭해준다 - 축을 Y로 바꿔준다. - 각도를 -90도로 고쳐준다 - 한번만 재생되게 바꿔준다 - 오브젝트 링크를 선택 후 뷰포트의 도어에 해당하는 것들을 모두 적용해준다 - 이제 로테이터로 모든 도어의 매쉬들이 귀속되어 있다 - 로테이터를 도어로 이름을 바꿔주고 상위 폴더인 토스터기에 귀속되게 옮겨준다. - 기존의 도어 파일은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니 삭제한다 - 씬그래프에서 다시 모든 요소를 보이게 해준다.
6. 배경 세팅 : HDRI 백드롭
씬그래프의 앰비언스를 선택한 후 랜더 클릭 후 루멘으로 변경 - 카메라로 선택 후 배경 색깔 조정 - 환경 선택 후 HDRI로 바꿔준다 - HDRI 백드롭으로 선택해준다 - 라이브러리의 HDRI 환경에 들어가서 실내 환경을 다운로드 해준다. - HDRI 환경을 화면 또는 프리뷰창에 드래그앤 드랍해주면 배경이 바뀐다. - 회전을 통해 배경을 조정할 수 있다. - 주추위에 토스터기를 놓아준다 - 직교뷰 전환 단축키 O - 오브젝트 선택 확대(씬그래프에서 오브젝트 선택후 F)
7. 컨피규레이션 : 도어 열기/ 닫기
하단의 미디어 모드 - 마름모꼴 아이콘 선택 - 점3개를 눌러 유형 선택 - 속성, 트랜스폼을 선택한 컨피규레이션 생성 - 2개를 생성해 1개는 도어 닫음상태를 썸네일 캡쳐와 새로고침 , 1개는 도어 열림 상태로 썸네일 캡쳐와 새로고침을 해준다 - 화면에 트리거를 누르면 문이 열리고 닫힌다
8. 컨피규레이션 : 머티리얼
컨피규레이션(마름모꼴 아이콘) 선택 - 속성을 머티리얼 전환으로 하고 컨피규레이션 생성한다 - 만들고 싶은 색깔의 수에 맞게 여러개 생성한다 - 원하는 색깔로 토스터기를 만들어주고 새로고침과 썸네일 캡쳐를 해준다 - 여러가지를 각기 다른 머티리얼로 만들어주면 트리거를 눌러서 바로 전환을 할 수 있다 - 트리거를 목록형으로 바꿔주면 트리거를 누르면 바로 전환되지 않고 목록으로 나타난다
9. 컨피규레이션 : 배경
컨피규레이션을 선택 후 속성을 앰비언스로 하고 생성해준다 - 원하는 배경 수에 따라 여러개 생셩해준다 - HDRI 환경의 실내배경을 드래그앤 드랍으로 배경을 변경해주고 새로고침 해준다 - 트리거를 목록형으로 바꿔준다 - F12눌러 전체화면에서 트리거를 통해 다양한 전화를 해볼 수 있다.
10. 컨피규레이션 : 결과물 출력 및 활용
미디어모드의 이미지 생성이나 F9를 활용한 스크린샷
11. 영상제작 : 사전세팅
컨피규레이션 작업물을 따로 저장해놓고 2주차 파일을 연다
12. 영상제작 : 씬 구성하기
하단의 미디어 모드에 들어가 비디오 모드로 들어간다 . + 아이콘을 눌러 동영상 위치를 저장하고 이동후 다시 + 를 누르고 재생하면 카메라가 이동하며 영상이 재생된다 - 재생 시간은 조정할 수 있다. - 이어져서 영상이 재생되지만 비디오 파츠 추가를 통해 새로운 카메라를 생성하면 끊어서 영상을 만들 수 있다 - 영상의 수정이 필요하면 중간에 씬을 추가하거나 기존 영상을 수정해서 해결할 수도 있다 - 생성된 미디어들은 각각 씬그래프의 정보를 저장해서 장면마다 다르게 나무를 보이거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13. 영상제작 : 시퀀스
하단의 미디어 모드들어가면 세번째에 있는 시퀀스를 선택한다. + 아이콘을 눌러 카메라를 생성해준다. - 비디오모드와 마찬가지로 영상을 만드는 기능이지만 약간 방식이 다르다 - 이동해서 시간을 정해 키프레임을 눌러주면 된다 - 시퀀스에서 재생/정지 단축키는 스페이스 바 - 속성값을 열어 모든 비디오를 선택 후 속도 스무딩을 적용하면 비디오간 이동 속도가 일정해진다
14. 프레젠테이션 : 세팅
미디어 모드의 사람모양 아이콘(프레젠테이션)을 눌러준다 . + 아이콘을 눌러 이미지와 동영상을 선택한다. - 하단의 익스포트를 누른다 - 로컬 프레젠테이션을 눌러 익스포트 시작을 누른다 - 실행파일로 만들어서 다양한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 저장한 폴더에 들어가 빨간색 트윈모션 아이콘을 실행하면 된다 - 다양한 씬의 이미지와 동영상을 보는 것 뿐만아니라 둘러보거나 이동해보고 탐험해 볼 수 있다. - 시간조정을 통해 그림자의 위치도 조정해 볼 수 있다.
15. 프레젠테이션 : 공유하기
트윈모션을 모르는 사람에게도 실행파일로 공유할 수 있다.
16. 마무리
트윈모션에서 작업한 결과물을 언리얼로 가져와 작업을 이어가본다.
https://youtu.be/w6Z6YkUpp7o?si=b-lRRFVwAnOZLqF9
'공부 > 언리얼, 트윈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강의 요약해보기, 트윈모션에서 언리얼엔진으로 레벨을 가져오자 [ 시작해요 트윈모션&언리얼 2025 ] 2025.5.18 일요일 (0) | 2025.05.19 |
---|---|
2주차 강의 요약 [ 시작해요 트윈모션&언리얼2025 ] 2025.5.11 일요일 (0) | 2025.05.11 |
1주차 강의 요약해봤어요. [시작해요 트윈모션&언리얼 2025] 2025.5.10 토요일 (0) | 2025.05.10 |
게임만드는 게임, 건축하는 게임 해보실래요? 시작해요 언리얼 & 트윈모션 2025가 시작되었습니다 2025.4.29 화요일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