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서/게임기획 11

감동적인 눈물겨운 게임회사 생존기![게임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안내서, 양정윤] 2025.7.29 토요일

안녕하세요.오늘은 '게임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안내서' 라는 책을 읽은 소감을 적어보겠습니다.저자는 양정윤님이시고 출판사는 에이콘이네요. 양정윤님은 현재는 시프트업에서 일하고 계시다고 합니다.시프트업은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로 현재 한국에서 가장 비전있는 회사 중에 하나입니다.양정윤님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비전과 사람이라고 합니다. 거기에 어울리는 회사네요!실버포션의 sp1, 엔씨의 블소와 프로젝트TL, 스마게, 시프트업의 스텔라블레이드에서 시나리오에 관해서 일하셨다고 하네요.이 게임들 모두 알고 있는 게임들입니다. 특히 sp1같은 경우는 제가 피씨방 아르바이트 하던 시절에 출시된 게임이였는데 손님들이 친구끼리 모여서 많이 하시던게 기억나네요. 블소가 출시할때는 피씨방에 일찍 갔었는데..

독서/게임기획 2025.07.19

예전 게임들을 되돌아보는 계기 [한국게임산업 20년사] 2025.7.16 수요일

안녕하세요.오늘은 '한국 게임산업 20년사'라는 책을 읽고 소감을 적어보겠습니다.한국게임산업협회, 한국게임미디어협회, 겜툰이 참여했네요. 전 한국게임산업협회장 강신철님이 대표로 소개되네요~강신철님은 15년부터 25년 초까지 약 10년간 게임산업협회장을 맡아오신 분이군요. 한국콘탠츠진흥원은 정부기관, 한국게임산업협회는 민간기관입니다. 한국게임산업 협회는 04년도에 설립되어 현재도 약 100개에 달하는 게임회사들이 소속되어 있다고 합니다.한국 게임산업 협회가 하는 큰 행사가 매년 부산에서 열리는 지스타가 있습니다~지스타의 뜻은 Game Show Trade All Round 라고 해서 G STAR 라고 하네요~ 이 책은 굉장히 크고 두껍고 종이의 재질도 컬러로 되어있습니다.04년도부터 23년도까지 20..

독서/게임기획 2025.07.16

이런 분이 계셨었다니! [모인의 게임의 법칙] 2025.7.3 목요일

안녕하세요.오랜만에 독서감상문을 쓰게 되었네요. 이번에 읽은 책은 '모인의 게임의 법칙'이라는 책입니다.2024년 7월에 선학사에서 출판했네요. 저자는 모인 입니다. 이번에도 다른 책을 읽다가 그 책을 누가 빌려가버려서 이 책을 다시 읽느라 감상문을 쓰는게 좀 늦어졌네요.원래는 게임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안내서라는, 양정윤님이 쓴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이 책은 정말 감명깊게 읽고 있었는데 163페이지까지 읽지 못했네요.힘들때의 이야기, 우여곡절, 행운 등이 소개되어있어서 정말 좋은 책이였습니다. 여러분들도 시간이 되시면 꼭 한번 읽어보세요~ 게임시나리오 기획자를 위한 안내서라는 책의 바로 옆에 꽂혀있던 책이 바로 오늘 소개할 '모인의 게임의 법칙' 이라는 책이였습니다. 사실 제목만 보면 감이 오질 않았습..

독서/게임기획 2025.07.03

게임회사에 대해 궁금했던 점 해결~ [ 게임기획자의 일, 최영근 ] 2025.5.29 목요일

안녕하세요.오늘은 최영근님이 지으시고 문학과지성사에서 출판한 '게임기획자의 일' 이라는 책을 읽은 감상문을 적어보겠습니다.위메이드를 거쳐서 해시드 게임회사에 계신 분이라고 책에 나오네요.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이 나오는군요~ 코인원 : PO_CO (現)앤더스 인터랙티브 : Director of Game Design (前)크래프톤-라이징윙스 : PD (前)크래프톤 : Creative Director (前)넷마블엔투 : PD (前)위메이드 커넥트(구. 플레로 게임즈) : PD (前)그라비티 : 시나리오 파트장 (前)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이 책은 일반 책보다 작고 얇았습니다. 그래서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그래도 작가분의 20년이 넘는 게임회사에서 일한 경험이 들어가 있으니 결코 가볍..

독서/게임기획 2025.05.29

현업자의 디테일한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은 책! [유저가 모이는 모바일 RPG 기획 작법서 ] 2025.4.24 목요일

안녕하세요.오늘은 '유저가 모이는 모바일 알피지 기획 작법서' 라는 책을 읽어본 감상문을 써보았습니다.최주홍님이 지으셨고 제이펍 출판사에서 출판했네요~ 최주홍님의 이력을 보다가 놀란 부분은 니케의 디렉터였었다는 것이였습니다. 니케 뿐만 아니라 이름만 들으면 알 정도의 모바일 게임에 다수 참여하셨었습니다.니케는 요즘도 잘나가는 시프트업의 수집형 알피지 게임이죠~저같은 경우는 시프트업의 기업 이미지가 좋아서 컴퓨터에 니케를 깔아놓고 조금씩 스토리를 보기도 합니다. 저는 유저로서 게임 개발자, 디렉터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게임을 만들지 항상 궁금했었습니다.유저로서 게임을 평가하거나 느끼는 부분이 많은데 유저의 생각에 한정되어 있어서 늘 부족함을 느꼈었습니다.유명한 시드마이어같은 개발자분들의 책은 있지만 우..

독서/게임기획 2025.04.24

463~ 끝 [바바히데카즈 TRPG마스터링 강좌] 2025.3.25 화요일

드디어 끝이났습니다.그냥 한권을 읽었다는 것에 기쁩니다. 코스키티안의 게임이론을 마저 마쳐보겠습니다.매력적인 rpg를 만들기 위해 롤플레잉, 플레이어간 교류, 극적인 고조감이 있으면 좋다는 내용입니다. 롤플레잉이란 연기와 비슷합니다.감정이입은 내가 캐릭터에 하는 것이고 반대로 롤플레잉은 캐릭터가 나에게 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나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겠죠. 이런 게임을 우리는 게임성이 높다고 하는것 같기도 합니다. 플레이어간 교류도 중요하다고 합니다.rpg를 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기도 해요. 승패를 떠나서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 보드게임이나 멀티게임을 하기도 하죠.그런데 요즘은 과금bm이 너무 강해서 멀티 게임이지만 교류가 적은 게임도 많은것 같습니다. 극적인 고조감은 스토리에 관한 것이겠죠. 스토리도 ..

독서/게임기획 2025.03.25

452~462p [바바히데카즈, TRPG 마스터링 강좌] 2025.3.21 금요일

오늘은 도서관에 늦게 가는 바람에 책을 많이 읽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다녀오면 너무 보람찹니다.10페이지를 읽었군요. 다음에 가면 정말 책이 끝날것 같네요.  오늘은 코스키티안의 게임이론 부록에 들어있는 내용입니다.매력적인 rpg를 만드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에 관한 내용이였습니다.1. 상호지원, 교섭 2.분위기 3.다채로운전개 4.감정이입 5.시뮬레이션 상호지원과 교섭은 외교와 소통일것입니다. 보드게임에서도 협력과 동맹이 일어나죠. 모노폴리 같은 경우 매점매석도 일어나구요. 요즘 멀티 온라인 게임에서도 외교, 동맹, 배신은 재미 요소입니다. 특히 삼국지 게임들에게서 많이 요구되겠죠. 분위기도 중요합니다.저번에 초보분들에게는 분위기보다 게임성이 중요하다는 내용도 있었지만 게임에 분위기가 좋으면 나쁠것은 없습니..

독서/게임기획 2025.03.21

420~451p [바바히데카즈, TRG마스터링 강좌] 2025.3.20 목요일

이제 정말 책이 끝나갑니다.오늘의 내용은 마스터링 숙달에 관한 것이네요. 전 사실 보드게임을 거의 안해봐서 마스터링이라는게 뭔지 잘 모르겠지만 심판의 역할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요즘게임의 길드장같은 역할일까요? 아무튼 마스터링이 뭔지는 대충 이해하고 넘어갔습니다.마스터링을 잘한다는것은 세션핸들링을 잘하는게 아니라 시스템의 우열을 구분할줄 알고 유저들을 계몽할수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세션핸들링이란 아마 운영을 뜻하는것 같네요.시스템의 우열을 구분한다는것은 많은 게임을 접해서 두 게임을 비교할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고 계몽을 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다른 유저들에게 좋은 게임을 추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겠죠.  그리고 마스터링을 잘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평소에 룰북을 많이 읽고 그것을 블로그에 ..

독서/게임기획 2025.03.21

401~419p 3화 [바바히데카즈, TRPG마스터링 강좌] 2025.3.19 수요일

오늘도 30분 정도 책을 읽었습니다.글을 쓰려니 잘 기억이 안나지만 메모를 한걸 보며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rpg의 잘못된 관점이 3가지가 있다고 합니다.향락파, 초심자옹호, 상대주의에 관해서입니다. 향락파는 재미만을 중요하는 유희에 해당하기 때문에 숙련을 중시하는 게임에 방해가 되고 초심자를 배려하기위해 분위기만 중시해서도 안된다고 합니다. 초심자에게는 게임성이 중요하고 그 예가 매직 더 게더링이라고 합니다. 매직더 게더링은 어렵지만 게임성이 출중해 초심자들이 유입이 많다고 하네요. 그리고 상대주의가 있다고 합니다. 상대주의는 논의를 거부하고 다 맞다고 하는 그런 태도라고 하네요.다 각자가 즐기는 방식이 다르다고 하는건 더 발전할 수 있는 논의 자체를 일으키지 않아서 도움이 안된다고 합니다.  rpg..

독서/게임기획 2025.03.19

바바 히데카즈 TRPG 마스터링 강좌 382p~400p 2화 2025.3.18 화요일

안녕하세요.오늘은 저번에 읽었던 부분에서 이어서 읽어보았습니다.이 책은 읽으면서 가끔 무슨 말을 하는건지 저도 모르고 그냥 읽을때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또 읽고 또 읽어야 이해가 되네요. 그리고 rpg가 정확히 mmorpg를 뜻하는지 콘솔싱글게임을 뜻하는지, 멀티 보드게임을 뜻하는지 아니면 또 다른 게임이 있는지 좀 헷갈립니다. 그래서 그냥 대충 저만의 해석을 하면서 읽고 있는 것 같습니다.중요한건 대충 저만의 해석을 해도 맞아 떨어지는 것 같긴하고 요즘 게임들을 대입해도 이해가 된다는 점입니다.   비록 약 30분 정도의 독서시간이였지만 진도는 있었습니다. 382p~ 400p까지 읽었는데 제가 메모한 부분이 있습니다.게임과 유희, 의사결정, 숙달, 참신하고 뛰어난 시스템, 역할분담이라고 제가 적..

독서/게임기획 2025.03.18
반응형